≪CBS 선데이 모닝≫ 방송을 위해 <자석 TV>를 설명하는 백남준, 시카고 현대 미술관, 1982
사진: 폴 게린. 백남준아트센터 아카이브 폴 게린 컬렉션.
백남준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과 홍콩에서 중학교를, 일본 가마쿠라에서 고등학교를 다녔고 도쿄대학교에 진학해 미학을 전공한 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음악으로 졸업 논문을 썼다. 1956년 독일로 건너가 유럽 철학과 현대 음악을 공부하는 동안 동시대 전위 예술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기존의 예술 규범, 관습과는 다른 급진적 퍼포먼스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이 때부터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의 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1963년 텔레비전의 내부 회로를 변조하여 예술 작품으로 표현한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을 통해 미디어 아티스트의 길에 들어섰다. 백남준은 1964년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본격적으로 비디오를 사용한 작품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비디오 영상뿐만 아니라 조각, 설치 작품과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고, 자유자재로 편집할 수 있는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개발하였으며, 여기에 음악과 신체에 관한 끊임없는 탐구까지 더해져 백남준만의 독보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였다. 1980년대부터는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필두로 위성 기술을 이용한 텔레비전 생방송을 통해 전위 예술과 대중문화의 벽을 허무는 글로벌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으며,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에 독일관 대표로 참가하여 유목민인 예술가라는 주제의 작업으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레이저 기술에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던 가운데 1990년대 중반 뇌졸중이 발병했다. 하지만 2006년 마이애미에서 타계할 때까지 백남준은 예술적 실천을 멈추지 않았다. 백남준은 미디어 아트의 개척자로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실험적이고 창의적으로 작업했던 예술가이다. 예술가의 역할이 미래에 대한 사유에 있다고 보았으며 예술을 통해 전지구적 소통과 만남을 추구했던 백남준은 “과학자이며 철학자인 동시에 엔지니어인 새로운 예술가 종족의 선구자”, “아주 특별한 진정한 천재이자 선견지명 있는 미래학자”로 평가 받으며 여전히 가장 “현대적인 예술가”로서 우리 곁에 숨 쉬고 있다.
- 2000
- 1월 1일 임진각에서 열린 《DMZ 2000》 공연에서 〈호랑이는 살아있다〉 위성 생중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회고전 《백남준의 세계》 개최. 서울 삼성미술관 순회.
미국 내셔널 아트 클럽 어워드 수상.
- 2001
- 독일 빌헬름 렘브루크 상 수상.
- 2002
- 뉴욕 록펠러 광장에서 《트랜스미션》 전시 개최, 〈트랜스미션 타워〉 선보임.
- 2006
- 1월 29일 마이애미 자택에서 타계.
- 1990
- 서울 원 갤러리와 갤러리 현대에서 《보이스 복스 1961‐86》 전시 개최,
추모 굿 〈늑대의 걸음으로〉 공연.
- 1991
- 바젤 쿤스트할레, 취리히 쿤스트하우스에서 《백남준: 비디오 때 비디오 땅》 전시 개최.
독일 고슬라 카이저링 상 수상.
- 1992
- 유네스코 피카소 메달 수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한국 최초 회고전 《백남준: 비디오 때 비디오 땅》 개최.
- 1993
-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작가로 한스 하케와 공동 참여, 황금사자상 수상.
- 1994
- 《서울뉴욕맥스: 경계 없는 예술 예찬》에 참여, 〈샬럿 무어먼에게 바침〉을 공연.
《전자 초고속도로》 미국 순회전 시작.
- 1995
- 《광주 비엔날레: 인포 아트 ’95》 전시 기획 및 참여.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관 주도.
뮌스터 교회 《바로크 레이저》 전시 개최.
일본 후쿠오카 문화상 수상.
- 1996
- 한국 호암재단 호암상 수상.
뇌졸중으로 쓰러짐.
- 1997
-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 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라〉 전시.
〈삼원소〉 제작 착수.
독일정부 훈장 괴테 메달 수상.
- 1999
- 브레멘 쿤스트할레에서 회고전 《백남준 플럭서스/비디오》 개최.
독일 캐피탈지 세계 100대 작가 중 8위에 선정.
아트뉴스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25인에 선정.
- 1980
- 쾰른 WDR 《한국과의 만남》에 참여, 샬럿 무어먼과 〈교향곡 6번〉 초연.
뒤셀도르프 쿤스트할레에서 홀스트 바우만과 함께 《레이저 비디오》 전시 개최.
「임의 접속 정보」 작성.
- 1981
- 베를린 미술아카데미의 빌 그로만 상 수상
- 1982
- 뉴욕 휘트니미술관에서 회고전 《백남준》 개최, “21세기 최초의 참사”라 부른 〈로봇 K-456〉의 교통사고 퍼포먼스.
- 1984
- 위성 프로젝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 제작, 1월 1일 뉴욕 WNET과 파리 FR3 채널 등으로 전 세계 생중계.
독일 ARD 방송국의 〈백 바이 비오〉 출연.
도쿄 소게쓰홀에서 요셉 보이스와 〈코요테 III〉 공연.
도쿄도 미술관에서 아시아 첫 회고전 《백남준 – 모스틀리 비디오》 전시 개최.
베를린 다드 갤러리에서 《백남준 – 2천 5백만을 위한 예술》 전시 개최.
- 1986
- 린츠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참여.
홈브로이히 미술관섬에서 〈MS-플럭서수스〉 공연.
쾰른 쿤스트페어라인에서 열린 《1960년대: 예술 중심으로 가는 길 쾰른》에 참여, 〈젊은 페니스를 위한 교향곡〉 공연.
위성 프로젝트 〈바이 바이 키플링〉 제작, 생방송.
- 1988
- 위성 프로젝트 〈세계와 손잡고〉 제작, 생방송.
1,003대의 TV로 된 〈다다익선〉 국립현대미술관에 영구 설치.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에서 《백남준: 비디오 작품 1963‐88》 전시 개최.
- 1989
- 함부르크 바이세하우스 갤러리에서 개인전 개최, 〈비디오 샹들리에 No. 1〉, 〈노아의 방주〉 전시.
독일 쿠르트 슈비터스 상 수상
- 1970
- 록펠러 재단과 WGBH 지원으로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개발 완료, WGBH 4시간 생방송 〈비디오 코뮨〉에 첫 투입.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alArts) 강사 초빙.
뉴욕 로즈 아트 뮤지엄에서 열린 《비전 앤 텔레비전》 전시 참여.
「글로벌 그루브와 비디오 공동시장」 작성.
- 1971
- 뉴욕 WNET TV 실험실 상주 예술가.
네덜란드 아른하임 손스빅 공원에서 열린 《손스빅 ‘71》에 참여.
〈TV 첼로〉 제작, 갤러리아 보니노에서 샬럿 무어먼과 〈TV 첼로와 비디오테이프를 위한 협주곡〉 초연.
- 1972
- 뉴욕 키친에서 열린 《비디오 필름 콘서트》에 저드 얄커트와 참여, 〈비디오 테이프 스터디 No. 3〉, 〈시네마 메타피지크 No. 1-5〉 등을 상영.
- 1973
- 뉴욕 WNET에서 〈존 케이지에게 바침〉 방송. 〈글로벌 그루브〉 제작.
- 1974
- 뉴욕 에버슨 미술관에서 개인전 《백남준: 비디아 앤 비디올로지 1959‐1973》 개최.
뉴욕 갤러리아 보니노에서 《전자 예술 IV》 개최, 〈TV 바다〉 전시.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심포지엄 《열린 회로: 텔레비전의 미래》에 참여.
뉴욕 WNET에서 〈글로벌 그루브〉 방송.
쾰른 쿤스트할레에서 열린 《프로젝트 ‘74》에 참여, 〈TV 부처〉 전시.
「후기 산업 시대를 위한 미디어 기획: 21세기까지 불과 26년을 남겨두고」 작성.
- 1975
- 필라델피아 대학교에서 열린 《비디오 아트》 전시에 참여, 〈TV 정원〉 설치.
뉴욕 마사 잭슨 갤러리에서 《하늘의 물고기 – 물고기들은 더 이상 하늘을 날지 않는 – 물고기들을 다시 날게 하라》 전시 개최.
뉴욕 WNET에서 〈모음곡 212〉 방송.
뉴욕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에서 〈플럭서스 소나타 IV〉 공연.
《제12회 뉴욕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참여, 〈걸음을 위한 선〉 마지막 공연.
- 1976
- 뉴욕 르네 블록 갤러리에서 《달은 가장 오래된 TV》 전시 개최.
남태평양 솔로몬제도 현지에서 〈과달카날 레퀴엠〉 제작.
쾰른 쿤스트페어라인에서 《백남준: 작품 1946-1976 음악-플럭서스-비디오》 전시 개최.
- 1977
- 플럭서스 동료이자 비디오 아티스트 구보타 시게코와 결혼
뉴욕 카네기홀에서 샬럿 무어먼과 《감옥에서 정글로》를 개최,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공연, 〈과달카날 레퀴엠〉 상영.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백남준: 음악-플럭서스-비디오 1946-1976》 전시 개최.
《카셀 도큐멘타 6: 위성 텔레캐스트》에 참여, 요셉 보이스, 더글라스 데이비스와 함께 공연.
- 1978
-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 교수로 초빙(1995년까지 재직).
파리 퐁피두센터에서 《백남준: 비디오 정원》 전시 개최.
도쿄 갤러리 와타리에서 《존 케이지에게 바침》 전시 개최.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요셉 보이스와 〈조지 머추너스를 추모하며〉 공연.
파리 시립현대미술관에서 회고전 《백남준》 개최.
뉴욕 WNET TV 실험실에서 〈비자(평화통신원)〉 시리즈 기획, 제작.
- 1979
- WNET 〈비자〉 시리즈 〈중국에서는 우표에 침을 바르지 않는다〉 방송.
- 1960
- 쾰른의 마리 바우어마이스터 아틀리에에서 〈피아노 포르테를 위한 연습곡〉 초연.
- 1961
- 플럭서스 운동의 조지 머추너스를 만남
쾰른 씨어터 암 돔에서 열린 《오리기날레》에서 액션 담당으로 참여, 〈머리를 위한 선〉, 〈플라토닉 연습곡 No. 3〉, 〈심플〉을 공연.
쾰른 거리에서 〈걸음을 위한 선〉 초연.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 작곡.
- 1962
- 뒤셀도르프 카머슈필레에서 열린 《음악에서의 네오다다》에 참여.
《플럭서스 – 비스바덴 국제 신음악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하나〉 등을 공연.
뒤셀도르프 쿤스트할레에서 〈20세기의 기억: 마릴린 먼로〉 전시
- 1963
- 일본에서 우치다 히데오, 아베 슈야를 만남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열린 《페스텀 플럭소럼 플럭서스: 음악과 반음악, 기악 극장》에 참여, 〈플럭서스 챔피언 콘테스트〉 공연.
부퍼탈의 파르나스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 개최.
「포스트 뮤직: 아방가르드 힌두이즘 대학 월간 리뷰 – 음악의 신존재론」 작성.
- 1964
- 〈로봇 K-456〉 제작.
뉴욕으로 이주하여 샬럿 무어먼을 만남.
샬럿 무어먼이 기획하고 저드슨 홀에서 열린 《제2회 뉴욕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참여, 〈로봇 K-456〉과 함께 〈로봇 오페라〉를 초연.
- 1965
- 소니 비디오테이프 녹화기 포르타팩 구매.
뉴욕 까페 오 고고에서 《전자 비디오 녹화기》 상영회 개최.
뉴욕 뉴스쿨에서 개인전 《백남준: 사이버네틱스 미술과 음악》 개최.
뉴욕 갤러리아 보니노에서 개인전 《전자 예술 I》 개최.
뉴욕 필름메이커스 시네마테크에서 열린 《뉴 시네마 페스티벌 I》에 참여, 〈필름을 위한 선〉 등 상영
필라델피아 아트컬리지에서 샬럿 무어먼과 〈생상스 테마 변주곡〉 초연.
- 1966
- 갤러리 아헨에서 샬럿 무어먼과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초연.
벨연구소 상주 예술가(1968년까지 참여).
- 1967
- 뉴욕 필름메이커스 시네마테크에서 샬럿 무어먼과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공연 중 음란죄로 경찰에 연행되었다가 풀려남.
- 1968
- 런던 ICA에서 열린 《사이버네틱 세렌디피티: 컴퓨터와 예술》 전시 참여.
「종이 없는 사회를 위한 확장된 교육」 작성.
- 1969
- 보스턴 WGBH 방송국 상주 예술가, 〈9/23/69 데이비드 애트우드와의 실험〉 작업.
WGBH 〈매체는 매체다〉 프로그램 통해 〈전자 오페라 No. 1〉 방영.
뉴욕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에서 열린 《창조적 매체로서의 TV》 전시에 참여, 〈살아있는 조각을 위한 TV 브라〉를 선보임.
아베 슈야와 비디오 신디사이저 개발 착수.
- 1950
- 6.25 전쟁이 나자 부산을 통해 일본 고베에 피난, 가마쿠라로 이주.
- 1952
- 도쿄대학교 문학부에 입학하여 미학, 음악학, 작곡을 배움.
- 1956
- 아르놀트 쇤베르크 연구 논문으로 도쿄대학교 미학∙미술사학과 졸업.
독일로 이주, 뮌헨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해 음악학과 미술사 공부.
- 1957
- 다름슈타트 국제 하계 현대음악강좌에 참석하여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을 만남.
프라이부르크 고등음악원에서 볼프강 포르트너에게 작곡을 배우고 현악 4중주를 처음 작곡.
- 1958
- 다름슈타트 국제 하계 현대음악강좌에 참석하여 존 케이지와 윤이상을 만남.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이 있던 쾰른의 WDR 전자음악연구소에서 작업 시작.
- 1959
- 뒤셀도르프 갤러리 22에서 〈존 케이지에 대한 경의: 테이프와 피아노를 위한 음악〉 초연
- 1945
- 경기보통중학교 입학.
- 1947
- 작곡가 이건우와 피아니스트 신재덕을 통해 20세기 피아노, 신음악을 배우며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작품 세계를 접하게 됨.
<많고 많은 날이 지난 후>,<향수> 등 작곡.
- 1949
- 홍콩으로 이주, 로이덴스쿨 입학.
- 1932
- 7월 20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에서 아버지 백낙승과 어머니 조종희의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
참고자료
- 백남준 작품 목록 (오디오)
- 백남준 작품 목록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Videos.pdf
- 백남준 작품 목록 (단채널비디오)
- Single Channel Videos.pdf
- 백남준 작품 목록 (영화)
- Film.pdf
- 백남준 퍼포먼스 목록
- Performances.pdf
- 백남준 참여 전시 목록 (개인전)
- Exhibitions(Solo).pdf
- 백남준 참여 전시 목록 (그룹전)
- Exhibitions(Group).pdf
- 참고문헌 목록 (인터뷰)
- Bibliography(Interviews).pdf
- 참고문헌 목록 (기사)
- Bibliography(Articles).pdf
- 참고문헌 목록 (일반)
- Bibliography(General).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