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아트센터(관장 서진석)는 2018년 2월 15일부터 9월 26일까지 백남준展 «30분 이상»을 개최한다.
«30분 이상»전은 백남준의 비디오 예술을 동시대 미국과 유럽을 뒤흔들었던 반문화의 흐름 속에서 재조명하는 전시로, 백남준이 비디오아트에 담은 새로운 소통의 비전을 보여주고자 기획되었다. 1960년대 미국 사회는 서구 문명에 대한 반성이 확산되면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기성 가치에 대한 전면적인 반대 운동이 들끓던 시기였다. 변혁운동의 새로운 주체였던 이 1960년대의 젊은이들은 대량생산 시스템에 의해 확산된 상품화의 첫 수혜자들이자 텔레비전과 같은 뉴미디어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만들어간 매스미디어의 젊은이들이었다. 신좌파와 히피 운동을 아우르는 반문화의 주체들은 기술 관료의 문화를 철저히 거부하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고자 하였고 인간적인 공동체가 존재하지 않는 모든 곳에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였다. 백남준의 비디오 예술이 보여준 급진성의 이면에는 반문화의 조류 속에서 탐색한 새로운 세대의 비전이 존재한다. 이제 막 상품화와 자동화의 시대로 빨려들던 동시대인을 향해 내린 긴급한 처방이 바로 비디오 아트였다.
전시 제목인 ’30분 이상’은 백남준이 작성한 글 「실험 TV 전시회의 후주곡」(1963)에서 자신의 텔레비전을 30분 이상 지켜볼 것을 요청한 것에서 따온 것이다. 전시는 이 30분의 의미를 타자와 공감하기 위한 필요조건이자 소통의 여정으로 해석하였다. 그에게 비디오아트는 지금, 여기를 벗어나기 위한 ‘조화로운 혼돈’의 경유지이자 저기, 너머로 가기 위한 상상력의 출발점이 된다. 정보의 홍수 속을 살아가며 더 딱딱해진 우리의 마음이 그의 비디오아트로 인해 해제되어 공감의 연대로 퍼져나가기를 기대해본다.
전시구성
전시는 총 4개의 섹션으로, 백남준의 비디오 영상과 비디오 조각 및 드로잉 등 작품 22점과 자료 40여점으로 이루어졌다.
‘꽃의 아이들’
첫 번째 섹션인 ‘꽃의 아이들’ 에서는 반문화 운동의 한 흐름을 만들어낸 시인 앨렌 긴스버그(Allen Ginsberg,1926∼1997)와 실험극단 리빙씨어터(Living Theatre), 그리고 음악가 존 케이지(John Cage 1912-1992)를 위해 백남준이 제작한 3개의 비디오 영상과 비디오 조각 <꽃의 아이>를 선보인다. ‘꽃의 아이들’은 미국의 히피세대를 상징하는 용어로, ‘평화’와 ‘사랑’의 상징으로 꽃을 즐겨 사용한 히피들은 기존 질서와 가치관을 조롱하며 노동과 유희가 창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지구공동체를 꿈꾸었다. 세계 역사상 가장 자유로우며 극단적인 상상력의 시대를 만들어낸 반문화의 주인공들을 위해 백남준은 비디오 매체의 특성을 활용해 유쾌하면서도 사랑과 존경이 담긴 비디오 작품을 헌정하였다.
‘사이키델릭+사이버네틱스=??’
‘사이키델릭+사이버네틱스=??’ 섹션에는 1960년대 미국사회의 주요한 키워드였던 히피들의 사이키델릭 문화와 기술 사회로의 진입을 예고한 사이버네틱스를 결합해 새로운 예술의 지평을 열어간 백남준의 실험 TV 시리즈와 방송국시스템에서 제작된 영상이 상영된다. 백남준은 비디오합성기를 사용해 텔레비전이라는 새로운 상품의 네트워크에 침투해 상품의 흔적을 제거하고 잡음을 일으켜 시스템을 교란시키고 시청자가 화면 너머의 저곳으로 이동하게끔 독려하였다.
‘켜라 맞춰라 빠져나와라’
‘켜라 맞춰라 빠져나와라’는 1960년대 젊은이들을 강타한 히피들의 구호이자 동시대 비디오 작가들이 주목한 메시지이기도 했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인간의 뇌와 마음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탄생한 사이키델릭 경험의 효과를 텔레비전과 비디오 매체로 전유해낸 백남준의 흥미로운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태아 백남준이 부모와 대화를 하며 써내려간 <태내기 자서전>과 <딕 히긴스를 위한 위험한 음악>, 시공을 넘나드는 비디오의 효과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영상 <백남준에 의한 머스 옆의 머스> 등이 선보인다.
‘비디오 텔레파시’
마지막 섹션인 ‘비디오 텔레파시’에서는 원인과 결과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이버네틱스의 피드백 메커니즘에서 시작해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동시성의 차원에서 연결시킨 백남준의 커뮤니케이션 예술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신의 비디오아트가 예술과 통신이 겹쳐지는 가운데의 씨앗과 같은 것이라고 한 백남준은 문화인류학적 비디오 탐험을 보여준 <중국에서는 우표를 핥을 수 없다>, 냉전구도를 깨고 동서가 화합했던 88올림픽을 위한 <세계와 손잡고>,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통받아온 한민족의 새로운 천년을 기원한 <호랑이는 살아있다> 등의 방송용 비디오를 제작하였다. 마음을 담은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가 만들어 진다고 생각한 백남준에게 비디오아트는 점점 더 딱딱해져가는 지구공동체에 뿌려진 소통의 씨앗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