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아트센터는 2023년 8월 15일부터 12월 3일까지 라재혁, 한재석, 오로민경, 원우리, 조호영, 그레이코드, 지인 여섯 명(팀)의 작가와 함께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3.0≫을 선보인다.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는 백남준의 실험적인 예술정신을 공유하는 신진작가들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3.0≫은 전시 형식의 실험이자 미술관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시도로 기획되었다. 백남준아트센터 곳곳에서 백남준의 시그널을 증폭시키는 동시대 작가들의 계주는 미술관 뮤지엄숍, 카페테리아에서부터 전시장 한쪽의 창가와 랜덤 액세스 홀까지 각자 다른 시차로 이어지며 전시의 틈새에 개입하거나 충돌하며 생성되었다가 사라진다.
‘랜덤 액세스’라는 프로젝트의 명칭은 백남준이 자신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1963)에서 선보였던 동명의 작품에서 비롯하였다. <랜덤 액세스>는 마그네틱 오디오테이프를 릴케이스 밖으로 꺼내 벽에 임의로 붙이고, 관객이 마그네틱 재생헤드로 자유롭게 테이프를 긁어서 소리를 만들어내는 작품이다. 백남준아트센터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랜덤 액세스>에서 찾을 수 있는 즉흥성, 비결정성, 상호작용, 참여 등을 키워드 삼아 백남준의 예술을 동시대 작가들의 시선으로 새롭게 해석한 전시를 선보여왔다. 백남준아트센터는 미술관이 백남준의 실험 정신과 현대예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만나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3.0≫을 이어간다. 신예들이 제시하는 미술관의 활용 방식은 전시의 또 다른 이름들을 발견하는 현장이 될 것이다.
작가소개
Vol 1. 라재혁 | ||
작곡가 라재혁은 작곡 행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음악, 퍼포먼스, 설치,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음악의 형식을 실험한다. 그는 일상과 예술의 교차 영역에서 관객의 참여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장치들을 배치하고 관객을 퍼포먼스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소통의 지대를 만들어낸다. 최근 라재혁은 숨김을 통해서 다른 한쪽을 드러나게 하는 차폐(遮蔽) 현상을 작곡의 재료로 삼아 음악과 일상의 경계에서 실험한다. 이를 통해서 곡의 연주를 설계한 작곡자와 실제로 연주를 감상하는 관객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한다. 독일 드레스덴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라재혁은 2016년부터 작곡가와 관객 사이 발생하는 감상의 틈을 줄이기 위해 소통을 다루는 <갭> 연작을 발표해 왔다. 또한 2018년 차폐 현상의 연구를 토대로 작곡한 <귀머거리>와 2019년과 2021년에 <야바위> 연작을 선보였다. 이외 주요 작품으로는 2018년 <조회수:3,144,―,―>, 2020년 <길거리에 서서>, 2021년 <쥬테>, 2022년 <나눔> 등이 있다. | ||
Vol 2. 한재석 | ||
한재석은 스피커와 마이크 등 직접 수집하고 제작한 음향 장치를 사용해 조각과 설치, 사운드 퍼포먼스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음향 출력 장치와 소리의 성질을 탐구해온 작가의 창작은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 스피커의 물리적 진동과 소리의 파동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한다. 입력과 출력, 수신과 발신 등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서 평소 지각하기 어려운 피드백 고리를 빛과 소리, 진동과 공명으로 공간에 구현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2020년 아르코미술관 기획전 ≪내가 사는 피드≫에 참여했으며, 2021년 OCI 미술관에서 개인전 ≪피드백커: 무한의 경계자≫를 열었다. 최근에는 건축, 서커스, DJ, 서브컬쳐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협업하며 작업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 ||
Vol 3. 오로민경 | ||
오로민경은 사람들이 잘 들리지 않는다고 여기는 소리의 풍경들을 마주하고 들어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는 빛과 소리를 기반으로 작은 기억, 흔들리는 잎의 미묘한 떨림을 감각하는 시간에 집중하게 한다. 최근 몇 년간 장애, 난민, 이주, 분단이라는 주제를 만나며 한국이라는 지형 안에서 회복을 찾는 소리풍경을 만들어 왔다. 개인뿐 아니라 콜렉티브 활동으로 소리 설치, 퍼포먼스, 무대 연출 및 기획 등 다양한 형태의 협업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협업으로 분단 감각에 대한 가상의 박물관 ‘분단이미지센터’를 공동 설립해, 밀레니얼 세대가 주체가 되어 분단 사회의 표면과 내면을 되새기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또한, 소수자, 난민 문제에 주목하는 ‘작은빛’ 콜렉티브 활동으로 예술 실천을 통해 사회 갈등을 직시하고 연대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 왔다. 대표작으로는 2021년 소리 퍼포먼스 <돌, 빛, 결>, 2022년 사물극 <연약한 기록들의 춤> 등이 있으며 2022년 개인전 ≪폐허에서 온 사랑≫을 열었다. | ||
Vol 4. 원우리 | ||
작곡가 원우리는 음악과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서 교류 방법을 탐구한다. 원우리는 인간 혹은 대상의 데이터를 음악에서의 최소 성분인 정현파에 대입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작곡의 영감을 얻으며, 이를 음악, 퍼포먼스, 시각적 설치를 융합한 작업으로 구현한다. 2019년부터는 인공와우 사용자의 기계적 청감을 연구하며 난청인과 건청인이 음악으로 교류하는 실험을 작업으로 선보이고 있다. 2019년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를 시작으로 2020년 위사 페스티벌(WeSA Festival), 2022년 국제컴퓨터음악컨퍼런스(ICMC)등 다수의 공연에 참여하였고, 2021년 스톡홀름 국립전자음악스튜디오(EMS)에 상주 작곡가로 선정되었다. 주요 전시로는 2019년 아트 콜라이더, 2020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2021년 인사미술공간, 2021-2022년 제로원 데이, 2023년 파라다이스 아트랩 페스티벌이 있다. | ||
Vol 5. 조호영 | ||
조호영은 사물(사람)간의 관계와 이를 지각하는 신체의 감각 작용을 이용하여 심리적, 물리적 거리의 균형을 탐구하고 이를 작품으로 선보인다. 일상의 물건들을 변형하고 이미 학습된 경험과 인지의 과정을 벗어나는 설치 환경을 만든 후 관객참여를 하나의 물리적 요소로 두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관계를 만든다. 작가는 이러한 물리적 에너지의 평형상태를 이루는 다양한 관계들이 사회적 존재로서 개인이 관계를 맺는 과정과 같음을 말한다. 2017년 린츠 라움쉬프 갤러리에서 ≪사이 공간≫을 시작으로 2018-2019년 제로원 데이, 2020년 아키타입서울, 2022년 성북예술창작터 등 전시에 참여하였다. 2018년 퍼블릭 아트 뉴히어로에 선정된 바 있으며 2022년 스페이스홤, 2020년과 2023년 탈영역우정국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 ||
Vol 6. 그레이코드, 지인 | ||
그레이코드, 지인은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아티스트 듀오이다. 공기의 진동, 소리의 음압 그리고 음악적 긴장과 이완을 작품의 언어로 활용하여 비가시적이지만 실재하는 현상을 소리로 분명하게 드러내는 작품을 만든다. 이들의 작업에서 주요한 재료인 스피커와 하드웨어 시스템은 악기로 기능하며 물리적 공간의 요소들과 공명한다. 작업을 매개로 감지되는 파장과 출렁임, 잔향은 청각뿐 아니라 시각, 몸의 경험에 관여하며 듣는 방식을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자극한다. 2021년 개인전 ≪데이터 컴포지션≫으로 출판한 서적은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주최하는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으로 선정되었으며, 2018년 독일 카를스루에 예술과 미디어 센터(ZKM) 헤르츠랩과 남서독일방송국(SWR) 주최 ‘기가-헤르츠 어워드’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일본 야마구치 정보예술센터(YCAM) 인터랩, 체코 런치밋 페스티벌, 2019년 베를린 한국문화원, 2020년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등 국내외에서 전시와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