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내

      • 관람 안내
      • 단체 관람
      • 오시는 길
      • 공간 소개
      • 편의 시설
      • 소식
    • 전시·프로그램

      • 전시
      • 프로그램
    • 작가

      • 백남준 예술상
      •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 배움

      • NJP 학교
      • NJP 크리에이티브
      • NJP 아카데미
      • 도슨트 양성
      • 문화가 있는 날
      • 교육자료
    • 소장품

      • 소장품
      • 아카이브
        • 백남준 아카이브
        • 비디오 아카이브
        • 메모라빌리아
        • 인터뷰 프로젝트
        • 기관 아카이브
      • 백남준의 비디오 서재
    • 연구

      • 백남준
      • NJP 채널
      • 출판
      • NJP 리더
메뉴 메뉴
메뉴 메뉴
    • 회원가입
    • 로그인
    • KR
    • EN

Search

토크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아티스트 토크
2020. 8. 6.—2020. 8. 7.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2층 세미나실
일시
2020. 8. 6.—2020. 8. 7. 오후 2시
대상
사전예약자 20명
참가비
무료

백남준아트센터는 2020년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을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자리를 엽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8월 6일(목)
오후 2시-4시
토크1: <완벽한 합창>
김우진, 전시 참여 작가
김우진은 순수예술을 공부하고 2013년 일본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리서치에 기반한 영상 작업을 이어왔다. 역사의 흐름에 따라 생성, 발전, 소멸하는 존재에 주목해온 작가는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에서 제주어의 소멸을 주제로한 <완벽한 합창>, <한국어 받아쓰기 시험_다음을 듣고 따라 쓰세요>(2019)를 선보인다. 이번 토크에서는 표준어라는 권력 안에서 사라지는 언어에 대해 작가가 그간 품어온 고민과 영상으로 드러난 작업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토크2: <두 개의 시선>
이주호 & 이주승, 전시 참여 작가
이주호는 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14년부터 영화 연출을 시작했다. 이주승은 영화 음악을 공부하고 오케스트라부터 재즈까지 다양한 음악을 짓는 작곡가이자, 기타연주자이다. 이주호 & 이주승 형제는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전시에서 백남준아트센터 커미션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두 개의 시선>(2020)을 처음 선보인다. 토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이주승 작가가 문자언어를 벗어나 음악을 자신의 언어로 삼은 과정과 장애를 대하는 두 개의 시선을 담은 영상 제작 과정을 나눈다.
8월 7일(금)
오후 2시-3시
토크3: <침묵의 미래>
김애란, 소설가
소설가 김애란은 극작을 공부하고 생애 첫 번째 소설 『달려라, 아비』로 독자들과 처음 만났다. 언어에 대한 관심과 애정에서 출발한 단편 <침묵의 미래>로 2013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하며 또한번 주목받은 김애란은 가상의 국가에서 사라져가는 언어를 사용하는 마지막 화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언어의 생성과 소멸의 문제를 드러냈다.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은 언어 스스로 그 존재와 미래를 묻는 소설의 물음에서부터 시작했다.
문의

031-201-8553

토크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아티스트 토크

    • 백남준아트센터 소개
      • 미션
      • 건축
      • 연혁
      • 조직
      • MI
    • 연락처

      연락처

      대표전화 031-201-8500

      FAX 031-201-8530


      관람문의 / 031-201-8571~2

      뮤지엄숍 / 031-201-8599

      카페테리아 / 031-693-5090


      일반문의 / info@njpartcenter.kr


      전시 / exhibition@njpartcenter.kr


      홍보 / press@njpartcenter.kr


      교육 / edu@njpartcenter.kr


      예약 / reservation@njpartcenter.kr


      아카이브・라이브러리 / library@njpartcenter.kr

    • 보도자료
    • 패밀리사이트
      • 경기문화재단
      • 지지씨
      • 경기도박물관
      • 경기도미술관
      • 실학박물관
      • 전곡선사박물관
      • 경기도어린이박물관
      •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 경기창작센터
      • 경기역사문화유산원
      • 경기상상캠퍼스
      •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Twitter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바로가기

  • 이용약관

    이용약관

    이용약관 바로가기

  • 행정정보공개
  • 경영공시
  • 후원

    후원

    백남준아트센터는 여러분의 지원과 지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개인 기부, 기업단체 후원은 백남준아트센터의 프로그램을 더욱 알차게 합니다. 경기문화재단 문화이음(donate.ggcf.kr) 기부를 통해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info @njpartcenter.kr)
    백남준아트센터를 후원해주신 분들
  • 백남준아트센터
  • (17068)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 백남준로 10 (상갈동)
  • 대표전화 031-201-8500
  • 관람문의 031-201-8571
  • FAX: 031-201-8530
  • info@njpartcenter.kr

(재)경기문화재단 COPYRIGHT © GGCF. ALL RIGHTS RESERVED.

  • 안내

    • 관람 안내
    • 단체 관람
    • 오시는 길
    • 공간 소개
    • 편의 시설
    • 소식
  • 전시·프로그램

    • 전시
    • 프로그램
  • 작가

    • 백남준 예술상
    •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 배움

    • NJP 학교
    • NJP 크리에이티브
    • NJP 아카데미
    • 도슨트 양성
    • 문화가 있는 날
    • 교육자료
  • 소장품

    • 소장품
    • 아카이브

      • 백남준 아카이브
      • 비디오 아카이브
      • 메모라빌리아
      • 인터뷰 프로젝트
      • 기관 아카이브
    • 백남준의 비디오 서재
  • 연구

    • 백남준
    • NJP 채널
    • 출판
    • NJP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