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상반기 강좌 일정 및 내용
순서 | 일시 | 강좌명 | 강사 |
---|---|---|---|
1 | 5월 31일 10:30-12:30 |
아티스트 토크 <시선의 역사> |
권혜원 (작가) |
2 | 6월 7일 10:30-12:30 |
<히피 반문화의 정치와 미학> | 양효실 (서울대/성균관대 강사) |
3 | 6월 14일 10:30-12:30 |
큐레이터 토크 켜라, 맞춰라, 빠져나와라 상설전 <30분 이상>을 중심으로 |
구정화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
4 | 6월 21일 10:30-12:30 |
큐레이터 토크 디지털, 감정과 감각의 전이 기획전 <웅얼거리고 일렁거리는>을 중심으로 |
김현정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
5 | 6월 28일 10:30-12:30 |
최근 예술 활동을 통해서 본 정동과 이데올로기의 문제 |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 |
6 | 7월 5일 10:00-15:00 |
외부견학 전시답사 SeMA북서울 <유령팔> |
외부견학 |
강사소개
구정화
구정화는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고 쌈지스페이스 큐레이터를 거쳐 2004년부터 경기문화재단에 재직하며 <열개의 이웃>, <관계의 드로잉>, <내일을 여는 책방> 등의 예술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2011년부터 백남준아트센터에서 학예연구사로 일하면서 일찍이 백남준 작가가 실천한 매개로서의 예술을 배우는 중이다. <스물 하나의 방>, <종이 없는 사회를 위한 학교>, <러닝 머신>, <우리의 밝은 미래-사이버네틱 환상>등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권혜원
권혜원 작가는 특정한 사건이나 기억이 배어 있는 장소들을 리서치 한 후, 이것을 영상으로 서사화한다. 그는 영상을 서사 구조를 구축하는 현장으로 생각하고, 리서치 과정에서 발견된 요소들을 통해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서사구조를 만들어낸다. 2011년 영국 블룸버그 뉴컨템포러리 작가로 선정되었으며, 최근 참여한 전시로는 백남준아트센터의 <웅얼거리고 일렁거리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신여성, 도착하다> 등이 있다.
양효실
서울대 미학과에서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하고 현재 서울대, 성균관대 등에 출강하고 있다. 번역서로 주디스 버틀러, 『불확실한 삶』, 『윤리적 폭력비판-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유대성과 시온주의 비판』이 있고 저서로 『권력에 맞선 상상력 – 문화운동 연대기』, 『불구의 삶 사랑의 말』, 『당신은 피해자입니까 가해자입니까』 등이 있다.
이동연
이동연은 문화이론, 정책, 기획에 다방면으로 관심이 많은 사람이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이다. 예술세상마을프로젝트 예술감독, 서울아레나 MP, 플랫폼창동 61 총괄예술감독이자, DMZ 피스트레인 뮤직페스티벌의 조직위원장으로 대중음악 페스티벌 기획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위원과 새문화정책 준비단 단장도 역임했다. 저서로는 <문화연구의 생성과 종말>, <예술@사회> 등 다수가 있다.
김현정
김현정은 대학원에서 박물관학, 현대 미술사를 전공하고 미디어의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디지털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 특히 사람들이 나누는 소통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웅얼거리고 일렁거리는>(백남준아트센터, 2018), <수퍼전파-미디어 바이러스>(백남준아트센터, 2013), 한국-호주 뉴미디어 아트 교류전 <도깨비 방망이>(경기도미술관, 2010), 한국-아랍에미레이트연합 교류전 <불사조의 심장>(경기도미술관, 2011)을 기획하였으며 광주 비엔날레, 부산 비엔날레, 경기창작센터, 한국-뉴질랜드 협력 프로젝트 등 다수의 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