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크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아티스트 토크 잠정 연기
2020. 6. 19. ― 6. 26.
백남준아트센터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무기한 휴관 정부 방침에 따라 6.19.(금), 6.26.(금) 예정된 토크 행사를 취소합니다. 전시와 토크를 기다려주신 분들께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사태가 하루 빨리 안정되기를 바라며, 백남준아트센터 재개관 시 홈페이지에서 별도 안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잠정연기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2층 세미나실
발제자
김애란(소설가),
김우진, 이주호 & 이주승(전시 참여 작가)
백남준아트센터는 2020년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을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자리를 엽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아티스트 토크 일정표
6월 19일 금요일 오후 2시-3시 |
토크: <침묵의 미래> 김애란, 소설가소설가 김애란은 극작을 공부하고 생애 첫 번째 소설 『달려라, 아비』로 독자들과 처음 만났다. 언어에 대한 관심과 애정에서 출발한 단편 <침묵의 미래>로 2013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하며 또한번 주목받은 김애란은 가상의 국가에서 사라져가는 언어를 사용하는 마지막 화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언어의 생성과 소멸의 문제를 드러냈다.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은 언어 스스로 그 존재와 미래를 묻는 소설의 물음에서부터 시작했다. |
![]() |
6월 26일 금요일 오후 2시-4시 |
토크: <완벽한 합창> 김우진, 전시 참여 작가김우진은 순수예술을 공부하고 2013년 일본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리서치에 기반한 영상 작업을 이어왔다. 역사의 흐름에 따라 생성, 발전, 소멸하는 존재에 주목해온 작가는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에서 제주어의 소멸을 주제로한 <완벽한 합창>, <한국어 받아쓰기 시험_다음을 듣고 따라 쓰세요>(2019)를 선보인다. 이번 토크에서는 표준어라는 권력 안에서 사라지는 언어에 대해 작가가 그간 품어온 고민과 영상으로 드러난 작업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
![]() |
토크: <두 개의 시선> 이주호 & 이주승, 전시 참여 작가이주호는 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14년부터 영화 연출을 시작했다. 이주승은 영화 음악을 공부하고 오케스트라부터 재즈까지 다양한 음악을 짓는 작곡가이자, 기타연주자이다. 이주호 & 이주승 형제는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전시에서 백남준아트센터 커미션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두 개의 시선>(2020)을 처음 선보인다. 토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이주승 작가가 문자언어를 벗어나 음악을 자신의 언어로 삼은 과정과 장애를 대하는 두 개의 시선을 담은 영상 제작 과정을 나눈다. |
![]() |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긴급 휴관 조치(5.29.~6.14.)로 휴관 기간에 해당하는 김우진, 이주호&이주승 토크 일정을 변경하였습니다. 기존 예약자분들께 이해를 부탁드리며, 개별 연락 드리겠습니다.
대상
사전신청자 20명, 무료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한 참석 인원 최소화)
신청
백남준아트센터 홈페이지 사전예약
바로가기
문의
031-201-8553